리스트
리스트는 대괄호([])를 사용하여 자료구조를 생성한다.
리스트에 참여하는 멤버는 ,를 구별자로 하여 저장한다.
Ex) colors=['red', 'green', 'gold']
개별값 가져오기 (슬라이싱)
결과가 colors[1]과 같이 리스트내의 단일 원소를 명시적으로 지정한 경우는 해당 자료형
type(colors[1]) // colors[1]의 결과는 'green'
그렇지 않을 경우의 결과값은 리스트
type(colors[1:2]) // colors[1:2]의 결과는 ['green']
Ex)
colors[0] // ['red']
colors[1:2] // ['green']
colors[-1] // ['gold']
colors[:2] // ['red', 'green']
리스트에 원소 추가하기
append(값)
리스트의 맨 뒤에 새로운 원소를 추가한다.
colors.append('blue')
colors.append('blue', 'yellow')
colors.append(['blue', 'yellow']) // 위의 것과 다른 결과를 보이는데 위에는 원소 두개를 추가한 것이고
// 이 문장은 리스트의 원소로 새로운 리스트 ['blue', 'yellow']를 추가한다.
insert(위치 인덱스, 값)
해당 인덱스에 새로운 값을 넣는다.
colors.insert(1, 'black') // 1번 인덱스(즉, 두번째)에 새로운 값 'black'을 집어넣는다.
extend(값)
마지막에 새로운 값을 넣는다.
colors.extend('white', 'gray') // 에러. 새원소를 넣을땐 다음과 같이 리스트로 넣는다.
colors.extend(['white', 'gray'])
+ 연산자
colors += ['red']
colors += 'red' // 새로운 원소로 'red'가 아닌 'r', 'e', 'd'를 추가한다.
원소 가져오기
index(리스트 원소, 시작위치, 끝나는 위치)
해당 원소의 리스트를 가져온다.
colors.index('red') // 0
colors.index('red', 1) // 8
colors.index('red', 1, 5) // 주의할 점....해당 구간에 원소가 없으면 에러발생
count(리스트 원소)
리스트내에 해당 원소의 갯수를 반환한다.
colors.count('red') // 2
pop([인덱스])
가장 뒤의 값을 뽑아서 결과를 반환하고 해당 원소를 리스트에서 제거한다.
인덱스를 지정하면 해당 인덱스의 원소를 반환하고 제거한다.
colors.pop() // 'd', 리스트에서 빠짐
colors.pop(1) // 'black', 인덱스 1인 black이 빠진다.
원소 삭제하기
remove(원소값)
해당 값을 가지는 원소를 제거한다. 반환값 없음
colors.remove('red') // 동일값에 대해 앞의 'red'가 빠진다.
댓글 없음:
댓글 쓰기